반응형

1. GKE 생성
-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

1) 클러스터 만들기
- 클러스터 -> 만들기

- Standard : 개별 노드 구성을 포함한 기본 인프라를 직접 관리
- Autopilot vs Standard 비교표
GKE Autopilot과 Standard 비교 | Google Kubernetes Engine (GKE) | Google Cloud
의견 보내기 GKE Autopilot과 Standard 비교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Autopilot Standard 이 페이지에서는 Google Kubernetes Engine(GKE) Autopilot 모드와 St
cloud.google.com

- 전환하기

2) 클러스터 이름 및 노드 위치 정하기
- 기본적으로 노드를 3개의 가용영역에 배포할 수 있도록 구성

3) 클러스터 버전 선택
- 댜양햔 버전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


4) 클러스터 노드 설정
- 노드 풀 이름 : 클러스터내에 노드 풀을 통한 관리(플랫폼별로 관리 하는 개념)
- 노드 개수
- 노드 수(영역 별) :1 -> 노드 개수 3개
- 노드 풀에 사용할 노드 개수(기본값 : 3개)
- 노드 풀 업그레이드 전략 : 기본적으로 Pod 스케줄링 차단 -> 드레인 -> Pod 스케줄링 차단 해지 방식으로 이루어짐
- 일시 급증 업그레이드
- 최대 일시 급중 개수(Max Surge) : 1 -> 한번에 최대 1개의 추가 노드 생성
- 최대 사용 불가 개수(Max Unavilable) : 0 -> 워크로드가 중단되지 않도록 보장
- 블루/그린 업데이드
- 새 노드 풀을 만들고 워크로드를 이전한 후 기존 노드 풀을 삭제
- 서비스 중단없이 업그레이드 및 롤백이 가능
- 단 일시적이 비용이 발생
- 일시 급증 업그레이드
Standard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 Google Kubernetes Engine (GKE) | Google Cloud
GKE Standard 클러스터에서의 자동 및 수동 업그레이드 작동 방식을 알아보세요.
cloud.google.com

5) 클러스터 노드 스펙 설정
- 각 비지니스 사항에 맞도록 노드 구성하기

6) Persitent Disk(PD) StorageClass 생성

7) 클러스터 생성

반응형
'GCP > GK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GKE Node Auto Provisioning(NAP) 구성 (0) | 2025.03.18 |
---|---|
[GCP] GKE PV,PVC,StorageClass 활용하기 (0) | 2025.03.15 |
[GCP] GKE 생성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 - Autopilot (0) | 2025.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