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AWS8

[AWS ELB] AWS Elastic Load Balance 생성 AWS Elastic Load Balance(ELB) 중 Application Load Balance(ALB)를 구축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Elastic Load Balance설명 참조하기 준비 EC2인스턴스 생성하기 ALB 구축하기 ALB 종류 선택 ALB 이름 선택 VPC 정보 확인 / AZ 영역 선택 보안 그룹(Security-Group) (테스트 환경이라 기본 보안 그룹 사용, 실제로는 원하는 보안 그룹 생성) 리스너 설정 리스너 설정시 대상 그룹(Target-Group) 생성 대상 그룹에 적용할 EC2 설정 대상 그룹 적용 완료 리스터 등록 설정 정보 확인 ALB 생성 완료 생성이 완료되면 이젠 ALB DNS 이름으로 통해 Load Balance 확인 Private IP 주소로 Load Ba.. 2021. 9. 6.
AWS fargate AWS Container serverless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라, ECS ,EKS 모두 동작 가능 어플리케이션 개발하는데만 집중 가능 서버리스라서 별도의 서버 비용이 없이 컨테이너를 실항하는 리스소 비용만 지불 기존에는 EC2인스턴스 생성 후 도커를 실행하여 관리하여 이중 관리가 필요하였지만, 서버리스 기반 Container인 Fargate를 사용하게 되면 Container만 관리 가능. 스팟을 사용면 최대 70%할인된 가격으로 사용하며, 실행되는 기간에 대한 스팟 요금만 지불 AWS 제한 Stateless 워크로드(stateful) privileged pood 사용에는 어려움 NLB,ELB(Classic Mode 사용 불가) -> ALB(ELB+ INgress 조합) Task Definition .. 2021. 8. 30.
AWS Elastic Load Balance AWS Elastic Load Balance Appliccation에 전달되는 트래픽을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 Lambda 등 대상 자동으로 분산시켜 주는 서비스 단일 가용영역(ap-northeast-2a)이 아닌 다양한 영역(ap-northeast-2a,ap-northeast-2c)을 통해 부하 분산 가능 트래픽 분산(포트별로 특정 인스턴스에 트래픽 부하) 인스턴스 상태 감지(Health Check) ELB 종류 1) Classic Load Balancer(CLB) AWS 초기에 출시된 로드밸런싱 4~7층 계층까지 범위 적용이 가능(TCP,HTTP,HTTPS) Health Check를 하기 위해서는/index.html 경로를 참조 (index.html 파일이 없을 경우 404 Error -> 서비.. 2021. 8. 26.
AWS Lambda AWS Lambda AWS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서버 프로비저닝, 서버 확장 및 서버 관리가 모두 필요 없습니다. 별도의 서버 없이 코드를 실행 해주는 서비스이며, 고정 비용 없이 요청 건수(+시간)당 비용 발생 특정 AWS 리소스(S3, DynamoDB, Kinesis, SNS)와 연결하여 Lambda 함수 실행 가능 함수코드는 최대 15분 동안만 실행 가능하며 1초 ~ 15분 사이 값으로 설정 가능 AWS Lambda 적용 장점 간단한 코드를 실행 시키는 경우 특정 트리거 실행될때마다 코드를 실행하고 싶을 경우 데이터(S3,EFS) , 실시간 파일, 실시간 스트림 서비스 단점 장기간 지속해야 하는 작업에는 기능적, 비용적이 비효율적 기존 컴퓨팅 자원 대비 서비스 고가의 서비스 비용(동일.. 2021. 8. 11.
Docker 정의 Docker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개발자가 쉽게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언제든(물리머신, 가상머신, 클라우드) 배포가 가능 Docker를 사용하게 되면 손쉽게 개발 환경 가능하며, 여러명과 같이 프로젝트시 동일한 개발환경 구성 가능 VM vs Docker 차이점 VM :OS내에 Hypervisor(Vmware,Hyper-v) 설치하여 필요한 OS 추가 설치하여 운영(많은 리소스 사용) Docker OS내에 Docker Engine을 설치하여 컨테이너 운영 Docker 라이프 사이클 (자세한 명령어는 : https://monta010.tistory.com/49 참조) Docker PULL Docker Registry(Docker Hub) images 다운로드 Docker PUSH Docker.. 2021. 8. 9.
[AWS] Route53 AWS Route53 AWS Domain Name System(DNS)이다 DNS란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자동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실 생활에서 확인해보면 "google.com" 검색을 하게 되면 DNS가 자동으로 google IP주소로 변환해서 접속하게 해줍니다. Ex) google.com : 123.123.123.123 이라고 하면 DNS가 없다고 하면 123.123.123.123 검색해서 google 사이트에 접속을 해야 합니다. 1개면 상관없지만 naver, daum , kakao 모든건 다 IP 주소로 외워서 해야합니다. AWS Route 53는 도메인 호스트뿐만 아니라, DNS관리, 가용성 모니터링,라우팅 정책등 적용 가능. AWS Route 구성하기 도메인 이름 : 사용할 도메인 주소 .. 2021. 8. 8.
AWS S3 AWS S3 데이터 저장 및 검색 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AWS에서 사용중인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백업 및 복구용으로 사용 Bucket내에 데이터를 무제한 저장할 수 있으며,데이터 용량 증가/축소에 대해 관리가 불필요한 스토리지 서비스 AWS 용어 Bucket : S3 최상의 디렉토리 ( / ) , S3 Bucket이름을 리전 내에서 유일하며, 계정별로 100까지 생성 가능 Object : S3에 저장 되는 기본 단위, Bucket에 저장되는 Object 크기는 최대 5TB까지 가능, AWS S3 구성하기 Bucket 만들기 Object 만들기 2021. 8. 7.
AWS Virtual Private Cloud(VPC) Amazon VPC란 무엇인가? Amazon Virtual Private Cloud(Amazon VPC)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가상 네트워크는 AWS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한다는 이점과 함께 고객의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존 네트워크와 매우 유사합니다. 출처 - AWS VPC를 적용하여 각 Instnace(서버)를 다른 네트워크로 나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 VPC를 구축 하지 않을 경우에는 Default VPC만 가지고 있습니다. 단, 실제로 AWS Instance(EC2)를 구축 할 경우에는 VPC를 구분하여 배치를 하게 됩니다. VPC 생성에 필요한 구성 요소 1. 리전 2. 가용영역 3. VPC 4. Subnet 5.. 2021. 7.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