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vpc 생성
- vpc 이름 : dev-vpc (원하는 이름)
- IP 주소 범위 : 10.0.0.0/16 (필요한 대역 설계)
- 유형 : 기본
2. subnet 생성(Public)
- Subnet 이름 :
- vpc : 생성한 vpc
- IP 주소 범위 : 10.0.1.0/24
- 가용 zone : 배포할 위치
- Internet Gateway 전용 여부 : Y(public)
- Public -> Internet Gateway
- Private -> NAT Gateway
- 용도(aws만 하다가 ncp subnet 만들떄 당황스러운 부분, 서비스유형마다 subnet 할당이 필요할 것 같다)
- 일반
- LoadBalancer
- BareMetal
- NatGateway
3. subnet 생성(Private)
4. subnet 생성(Public, Pirvate)
5. 서버 생성
- vpc : 생성한 vpc 선택
- subnet : 생성한 subnet 선택
- 서버 세대 : g2(하이버 바이저 차이) / 참고 : https://guide.ncloud-docs.com/docs/server-spec-vpc
- 서버 타임 : 상황에 맞도록 선택(테스트로 가장 저렴한 스펙)
- 요금제 선택 : 월,시간 선택 / 참고 : https://www.gov-ncloud.com/charge/price/ko
- 서버 개수 : 1 / 필요한 개수만큼 생성
- 서버 이름 : 서버 이름 / 해당 이름으로 호스트네임 설정 가능
- Network Interface : 추가 버튼 눌러야 네트워크 드라이버 선택됨(IP 수동 , 자동 가능)
- 공인 IP : 새로운 공인 IP 할당(미선택시 공인 IP 생성안됨)
6. 네이버클라우드 서버 접속
7. apache 설치
- 설치하고 공인 IP로 접속하면 접속 안됨 , 방화벽 오픈 필요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pache2 -y
systemctl restart apache2
8. 방화벽 오픈
9. 접속 확인
10.리소스 정리
- server , vpc 리소스 삭제 필수
반응형
'네이버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p kubernetes 설치 (0) | 2025.01.20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