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CP에서 하나의 Load Balancer로 여러 서비스 운영하기
GCP(Google Cloud Platform)를 사용하다 보면, 다양한 서비스들이 생성되면서 각각의 서비스에 LoadBalancer를 따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방식은 초기에는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서비스 수가 늘어나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합니다
- 비용 증가: LoadBalancer는 리전 단위로 비용이 발생하며, 여러 개를 생성할수록 네트워크 요금과 리소스 사용량도 증가합니다.
- 복잡한 운영 관리: 각 서비스별로 LoadBalancer 설정을 따로 관리해야 하므로 운영 복잡도가 증가하고, 변경 시 실수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하나의 LoadBalancer로 여러 백엔드 서비스 연동하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는 하나의 HTTP(S) Load Balancer에서 URL 경로 또는 호스트 기반으로 요청을 라우팅하여 여러 백엔드 서비스를 연동하는 방식입니다.
구성 방식
- Frontend: 단일 IP와 HTTPS 엔드포인트를 설정합니다. (SSL 인증서도 하나로 통합 가능)
- URL 맵: 요청의 Host 또는 Path를 기준으로 트래픽을 분기합니다.
- Backend services: 각기 다른 GKE 서비스, Cloud Run, 또는 VM 인스턴스 그룹 등을 백엔드로 등록합니다.
- 테스트 도메인
- web1.example.com
- web2.example.com
- 부하분산 라우팅 규칙
- 도메인 호출
반응형
'GCP > 부하분산(L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부하분산(LB) SSL 적용하기 (0) | 2025.04.21 |
---|---|
[GCP] 부하분산(LB) 방화벽 처리 (0) | 2025.04.17 |
[GCP] 부하분산 구축 및 라우팅 적용 (0) | 2025.04.17 |
[GCP] 부하분산(LB) 란 (0) | 2025.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