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7

[GCP] VM 디스크 용량 변경 1. 현재 디스크 용량 확인하기df -h  2. 파티션 정보 확인parted -l  3. 콘솔에서 용량 수정(10GB -> 20GB)  4. 콘솔에서 증설 완료  5. 디스크 정보 확인fdisk -l  6. 디스크 확장resizepartPartition number : 1파티션 /dev/sda1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계속하시겠습니까 : yesEnd? [10.5GB]? : 100%  - 전체 디스크 공간을 할당parted /dev/sdaresizepart 7. 디스크 확장partprobe /dev/sdba : 리부팅 없이 변경사항 활성화resize2fs /dev/sda1 : 파일 시스템 확장partprobe /dev/sda1resize2fs /dev/sda1  8. 디스크 확장 성공 2025. 3. 13.
[GCP] Cloud SQL Postgresql 설치 1. Cloud PostgresSQL 생성하기 1)  대시보드   2)  인스턴스 타입 및 정보 설정 유형 선택 : Enterprise Plus, Enterpise 선택(타입별 버전 선택이 다름)버전 사전 설정Enterprise Plus : 개발, 프로덕션 가능Enterpise : 샌드박스, 개발, 프로덕션 선택 가능인스턴스 정보데이터베이스 버전 :  PostgresSQL 12 ~ 17 선택 가능인스턴스 ID : 데이터베이스 이름(GCP 콘솔에서 보여지는 부분비밀번호 : Postgres 계정 비밀번호   3)  리전, 가용영역, 인스턴스 타입 리전 : 서울가용 영역 : 단일 영역(운영 단에는 멀티 가용영역)인스턴스 타입가장 잦은 타입 선택(필요 스펙에 따라 선택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4)  저장 용.. 2025. 3. 13.
[GCP] VM gcloud CLI 및 kubectl 적용하기 gCloud CLI 설치##업데이트sudo apt-get update##공개키 가져오기curl https://packages.cloud.google.com/apt/doc/apt-key.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cloud.google.gpg## 패키지 소스로 gcloud CLI 배포 URI를 추가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cloud.google.gpg] https://packages.cloud.google.com/apt cloud-sdk main"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google-cloud-sdk.list##gcloud CLI를 업데이트하고 설치sudo.. 2025. 3. 11.
[GCP] 스토리지 1. 스토리지 생성  1) 버킷 만들기 2) 버킷 이름 만들기유일한 이름으로 정의해야함  3) 버킷 저장 위치 선택다양한 저장 위치 선택하기!Multi-region : 리전 내 여러 리전에 데이터 저장 Dual-region : 대륙 선택하고 -> 다양한 리전 선택하여 배포 가능함유럽 선택 -> 런던, 독일 이린식으로 저장되는 상태   Region : 단일 리전 선택     4) 데이터 스토리지 클래스 선택Standard 선택    5) 객체 엑세스를 제어공개 액세스 방지 허용보안상 방지를 하고 권한처리를 통해서 진행해야 됨 6) 버킷 생성 2025. 3. 11.
[GCP] GKE 생성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 - Standard 1. GKE 생성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  1) 클러스터 만들기클러스터 -> 만들기 Standard  : 개별 노드 구성을 포함한 기본 인프라를 직접 관리Autopilot vs Standard 비교표https://cloud.google.com/kubernetes-engine/docs/resources/autopilot-standard-feature-comparison?hl=ko GKE Autopilot과 Standard 비교  |  Google Kubernetes Engine (GKE)  |  Google Cloud의견 보내기 GKE Autopilot과 Standard 비교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Autopilot Standard 이 페이.. 2025. 3. 11.
[GCP] GKE 생성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 - Autopilot 1. GKE 생성사용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  클러스터 생성기본으로만 생성하여 테스트 목적 기본 설치 방식이 "Autopilot" 방식으로 설치하는 구조Autopilot  GKE가 인프라 대부분을 관리하여 노드 구성, 자동 확장 및 업그레이드 생성 중.... 생성 완료  2. GKE 접속 접속노드 확인   3. GKE Deployment 배포 2025. 3. 10.
[GCP] VM SSH key 생성 및 접속 SSH KEY 생성하기옵션 -f 파일 경로-C 사용자 정보 경로 : ~/.sshKey 이름 : dev-sshssh-keygen -t rsa -f ~/.ssh/"key이름" -C "이메일주소"    SSH KEY 등록Computh Engine -> 메타데이터 -> SSH 키   방화벽 오픈gcp 경우 방화벽 -> 네트워크 태그 기반으로 등록하기    접속 2025. 3. 10.
[GCP] VPC 생성하기 VPC 네트워크 -> VPC 네트워크 접속하기 이름 : dev-vpc서브넷 생성 모드 : 자동   생성 완료 2025. 3. 10.
[GCP] VM 생성 및 도커 설치 1. VM 인스턴스 만들기VM 인스턴스 -> 인스턴스 만들기 1) 머신 구성이름 : dev-vm리전 선택 : 영역 : 모두(다양한 가용영역에 배포) , 단일 영역도 가능함타입 : 타입 선택  타입 스펙 선택타입별 스펙하기(micro, small, medium)  2) OS 및 스토리지 선택OS 및 스토리지 선택   3) 데이터 보호스냅샷 일정 스냅샷 일정(기본 오전 2:00 ~ 오전 3:00)4) 네트워크http 트래픽 허용 선택별도 포트에 대한  오픈은 추후에 확인 필요  표준 네트워크 선택 기본적으로는 공인 IP(외부 IPv4)는 임시로 설정되어 만들어진다.고정으로 사용하는것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정으로 만듬비용이 추가 되는건지는 공식문서 참고  5) 인스턴스 생성 완료        2. VM 인스턴스.. 2025. 3. 10.